본문 바로가기

Criticism/2011 구기수 글 2

구기수 글 2

 

보이는 현상 I 보여지는 본질

구 기 수 I ART SPECIALIST

 
''보이는 현상은 빛을 머금고 그 아름답고 풍요로운 본질적 의미를 즉각적으로 드러내어, 우리의 눈앞에서 우아한 자태로 유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역사적으로 정물화는 르네상스 이전에도 프레스코 화와 장식용 모자이크에서도 그 흔적을 발견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물이 보조적인 요소와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독립적인 회화 장르로 등장한 것은 르네상스시대로 분류하고 있다.

정물화가 그 모습을 본격적으로 드러낸 시기는 16세기와 17세기였다. 그 주된 요구는 주변 물체의 세부를 면밀히 관찰하여 사실적으로 재현 한 것에 대한 대중의 지대한 관심과 이방세계와의 무역으로 인한 물질의 풍요가 신흥 중산계급층을 형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정물화는 그 절대적인 지지층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다시 말하자면, 그 시기 정물화는 보는 즐거움과 풍요로움을 반영하였고, 이 매력적인 주제는 새롭게 등장한 부유층과 시각적 입맛이 까다로운 미술애호가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정물화는 17세기 네덜란드에서 그 황금기를 맞이했다. 일개 지방항구였던 암스테르담은 해상무역과 상업으로 부유해졌고, 물질적 여유가 있는 이들은 신께 경외감을 표현하고 겸손한 자신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와 더불어 새로 구입한 집을 장식하기 위한 정물화에 눈길을 멈추지 못하던 시기였다.

무엇보다도, 초기 정물화에서 보이는 특징은 시간성과 존재의 소멸 그리고 언젠가는 다시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인간의 운명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모래시계, 촛불, 해골 등과 같은 소재를 선택하여 인간 삶의 비영원성을 알레고적으로 표현하였다. 이후 주제와 시각적 재현은 예술가와 고객의 취향에 따라 각 계절마다의 꽃과 열매를 재구성하여 쉼 없이 반복되는 자연의 순환성과 풍요 그리고 인간의 소망과 꿈을 상징적으로 구현 하여 보여 주었다.

정물화는 오랜 시간 동안 그 시각적 권력을 놓지 않은 가운데, 18세기부터 2차 세계 대전이후, 비구상화가 등장하기까지 정물화는 프랑스에서 다시금 날개를 펴게 된다. 그리고 정물화에 대한 예술가들의 끝없는 애정은, 표현의 대상에 대한 개인적이고 독자적인 조형적 해석이 동반되어 이미 형성된 초상화, 풍경화, 신화 그리고 성화를 다룬 장르들과 더불어 하나의 큰 예술적 흐름을 이루게 되었다···.

오늘날 정물화가 지난 과거에도 그랬듯이 여전히 호기심을 자극하는 소재이며, 표현 대상에 대한 예술가의 개성적 관점을 보여주므로 대중과의 공감대를 형성시킬 수 있는 주제 일까? 그리고 더 나아가 보여 지는 현상, 그 속에 담긴 실체적 본질을 우리에게 이해시키고 인식하게 허락 할 수 있을까?

여기, 이러한 질문에 사유적 시각 언어를 통하여 다가서는 작가 장 기 영이 있다. 그가 선택한 표현의 소재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과 열매 그리고 기물들이다. 그의 조형적 접근법의 시작은 자연에 의해 길러진 생명체들을 세밀하게 연구하여 그 얻어진 정보를 통해 소재의 이면을 들려다 보고자 했다는 것이 주목 할 점이다. 이러한 사물에 대한 작가의 예술적 태도가 그의 정물화를 매우 특별히 느껴지게 하는 동기가 되었다.

또한, 그에게 있어서 끊임없는 욕망은 '예술가의 리얼리티' 즉, 예술가가 대상과 사물에 대해 지닌 고유한 그 관점과 세계관을 시각언어를 통해 보여 줌으로써, 대중과 소통의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데 그 의미의 저울이 기울어져 있다고 한다. 그에게 정물의 형태와 색채는 우리 얼굴에 나타난 미묘한 감정의 변화 곡선과 의견을 동반한 표정이며, 삶의 여정을 드러내는 인간의 그것과 동질 선상 위에 있음에 대하여 또한 이야기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제 장 기 영은 '메카닉적 눈'의 사유를 시도한다.

여기, 정교하게 연출 된 공간 속에서 따사로운 빛을 받아 반투명의 표피와 도톰하게 살집을 드러낸 열매들은 마치 아름다움이 가장 절정인 여인의 화려함과 우아함으로 우리 곁에 다가온다. 그리고 가녀린 노랑꽃과 흰색의 붉은 꽃은 지금 막 몸을 씻고 나온 엄마와 아이처럼 청명하다. 보이는 화면 속의 정물은 이제 우리 눈앞에서 생명력과 인격이 부여 된 존재인양 긴 호흡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제 그들의 세계를 여행 할 준비가 됐는가? 아니! 이미 우리는 그들의 공간에 들어와 있고 이곳저곳을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다. 혹, 누군가는 이 거대한 기물의 주변을 돌면서 그동안 풀어내지 못 하고 고민한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철학자의 길처럼 생각하고 걷고 있는 지도 모른다!

그가 연출한 공간은 시간이 멈춰진 듯 정적이 흐르고, 그 정적을 불편하지 않게 하는 것은 꽃과 열매 에 맺힌 물방울이고 그것들을 품은 기물 사이로 스며들고 있는 빛이 있기 때문 일 것이다. 그는 이곳을 거대한 바위의 협곡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보이는 것들은 우리의 시선을 앞도하며, 바라보는 우리를 거인국에 불시착한 이방인처럼 여기게 만들었다. 그리고 우리에게 그들이 어디서 왔으며, 무엇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싶은지 몸짓을 통하여 대화를 시도 하는 듯하다···.

화면에 등장한 사물과 대상이 가지는 색과 형태의 표정 형성 과정은, 우리가 일정 부분을 유추 할 수 있지만, 커다란 영역이 우연의 법칙에 의해 행해지고 이러한 과정으로 탄생되는 사물과 대상의 특징은, 마치 꿈의 이야기와 유사하며 또한, 그 것과 같은 매력을 가질 수 있음을 그는 이야기한다. 그래서 그의 작품 속 분위기는 이러한 과정을 격은 몽환적인 장면이 형성 되었을 것이다.

때때로 우리는 꿈과 환상을 통하여 우리의 모습을 직면하고 깨닫게 된다. 이러한 '꿈과 환상의 잠재적 힘'을 설명하기위해 그는 경쟁관계에 있는 '여러 힘 사이 타협의 결과'(규칙성의 획득)로, 또는 일정량을 계산 할 수 있는 '모호한 힘'(분위기 연출)의 개입을 환영하고 있다.

또, 장 기 영에게 있어서 정물에 대한 철학적 출발점은, 사물의 형태적 표정이 인간의 그것과 같이 대변대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는 무기체와 유기체에 대한 각기 다른 시각적 특징을 통해 같은 '모임과 생물학적 가족 안에서의 개연성과 다름의 조형적 호기심'을 제시한다.

로제 카이유와는 이를 '결정 된 우연성'이라 언급하였다. 즉, 그는 자연계에 속한 모든 사물과 대상은 계획 된 틀의 우연성에 의해, 형태의 고유한 표정을 소유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근거에 따라 그는 자연이 개입 된 열매의 곡선과 결, 꽃들의 규칙성과 색채를 소개하였으며, 무기체의 대표로 도공에 의해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도자를 뜨거운 불길 속에서 변성된 다른 존재로 그 예로 들고 있다.

즉, 장 기 영은 자연속의 무기체와 유기체를 무질서 속에서 규칙성을 찾아가는 숨 쉬는 생명체로 인정하는 동시 그 것을 자연계의 다양한 인간적 표정으로 이야기한다. 이를 위해 그는 정물에게 인격을 대하 듯, 구도자의 눈빛으로 감성과 사유를 골고루 다른 세상 속 사물들에게 나누어 주는 개인적 시각표현을 하고 있다. (신에 의해 창조 되어진 하나 같이 다른 생명체들처럼)

오늘날, 보이는 현상 속에서 동반되어 드러나는 본질적 가치와 의미를, 우리는 쉽사리 인식 할 수 없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영과 혼 그리고 육으로 된 3차원의 세계에서 사는 4차원적 존재이기에, 작가의 사물과 대상에 대한 적극적인 창조적 개입을 통하여 그것이 소유하고 보여주는 몇몇 진실인 '차원의 다름과 같음'을 우리는 작품을 통해 다가가므로 이해하게 되었다.

장 기 영은 우리에게 일상적 소재가 내포하고 있는 시각적 의미에 대한 고정된 생각을 멈추고, 그것을 바라보는 순간 그들은 저 멀리 우리가 보지 못하고 인식하지 못하며, 그리고 정의 할 수 없는 꿈의 공간으로 초대한다고 말한다. 이제 그의 작품에서 우리는 진정으로 원하고 바라는 것을 현상을 통하여 인간 내면 깊숙이 깔려져 있는 꿈과 근원적 소망을 바라 볼 수 있는가?

작가는 이러한 인간 정서의 반응과 사물간의 본질적 관계성을 탐구하기 위해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가 익숙하게 접하던 사물들을 그의 시각적 사유의 장에 호출하여 연출해 보여주므로, 그 보여 지는 현상 속의 이면에서 무한히 교환되는 진실과 무형의 본질을 확인 할 수 있게 허락 하였다.

지금 우리 눈앞에 있는 장 기 영의 작품에서, 우리가 실제로 깨달은 중요한 사실은 사물 자체가 자신들의 정체성을 스스로 보여준 다기보다는, 작가 자신이 의도적으로 연출하여 그렇게 그렸기 때문이라는 것을 우리는 이제 고개를 끄덕여 인정하고 있다.



LE PHENOMENE VISIBLE I L'ENTITE VISIBLE

  KOOKISOO I ART SPECIALIST 

“The visible object seduces us with the elegant pose that embodies light and contrast and displays its full beauty and essence.”

Historically, evidence of still-life paintings can be found long before the Renaissance within Fresco murals and decorative mosaics. However, it was a subsidiary role and it was not until the Renaissance that still-life took its form and became an independent genre.

Still-life paintings started to flourish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e increasing curiosity about the surrounding world and objects found within coupled with the growing number of affluent middle class from profitable trade with the new world created strong interest in the detailed reproduction through careful observation.

Thus, still-life paintings attained absolute supporters. In words, the still-life paintings of that period reflected the joy and the abundance and this charming theme had the appeal to satisfy the demanding visual taste of the new rich and art ritics alike and captured their hearts.

Still-life paintings met its golden age in 17th century Netherlands. Amsterdam, once just a regional port, became opulent from sea trade and commerce and people wanted to spend their new found wealth to display their piousness and humbleness in self portraits and decorate their newly acquired homes with still-life paintings.

More over,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early still-life paintings was that the subject of choice was the mortal nature of men and objects such as sand clock, candle light, and skull were chosen to represent allegorically time, extinction, and that all men eventually return to their maker. Later, the subject and the visual reproduction, depending on the preference of the artist and client, reproduced the flowers and fruits in each season to display the ever repeating natural cycle and the abundance as well to symbolically represent the hopes and dreams of men.

In France, still-life paintings held its visual authority for a long period from the 18th century until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when abstract art made its appearance. In addition, the never ending love for still-life paintings by artists along with the personal and individualistic visual interpretation by the artists solidified still-life paintings as a major genre to make a lasting impression in art history along with portraits, landscape paintings, God and mythological paintings.

In these modern days, as it did in the past, can still-life paintings still evoke curiosity and create empathy from the people by revealing the artist's individual perspective toward the subject? Further, can it allow u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substantive nature beyond what can be seen?

Here is an artist, Chang Ki Young, who is trying to answer these questions through visual language. The subjects of his choice are common flowers, fruits, and objects that are easily found around us. His formative approach begins with the detailed observation of living beings that are nurtured in nature. Through this information, he sees beyond what can be seen and expresses what can not be seen. This artistic attitude is what makes his still-life paintings extraordinary and feel special.

In addition, his constant desire is "artist's reality", the desire to express his perspective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shorten the communication gap with the people. For him, the shape and color of the object is the same as the subtle change in the facial expression from shift in the mood, and tells a story just as the visible signs of a person's life tells the story of that person. For this, Chang Ki Young reasons is the trial of 'mechanical eye'.

Here, in this precisely directed space, the warm glow of light makes the translucent skin and plump flesh of the fruits appear as seductive as the elegance and glamour of the most beautiful lady. Also, the delicate yellow flower and the white flower with red center appear as serene as mother and child who just got out of the bath. We now discover that the still-life before us respires as if life was breathed in and takes a long exhale.

Are you now ready to visit their world? No! We are already within their world and going up and down here and there. Maybe, someone is going around this great edifice walking down the Philosopher's way and thinking like a philosopher who is finally finding solution to long unsolved problems.

The space under his direction flows quiet quiescence as if time stood still but this possible discomfort is broken by the water drops on the flowers and fruits and the light shin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bjects. He makes this space appear like a water canyon within great rocks. What can be seen dazzles and grabs our attention and makes us feel like strangers who crash landed in a land of giants and these giants seem to tell us where they came from and what they want to discuss through their body movements..

We could partially infer formation of the color and the expression of the form of the objects and the targets on the screen but the larger portion is formed by chance and the objects and targets born of this process has the characteristic like a story in a dream and has the same appeal. So, the atmosphere witnessed in his work was likely created through the same dreamlike process.

Every once in a while, we face our true selves through our dreams and fantasies and realize who we are. To better explain the 'subconscious power of dreams and fantasies' he welcomes the introduction of 'resulting compromise between many forces'(acquirement rule), and calculatable ''power of ambiguity'(mood direction).

Moreover, for Chang Ki Young, the foundation for his philosophy is that the expressed shape of an object is equal to the expressions of a person. In this sense, both animate and inanimate objects, through different visual characteristic, present that "grouped together or as families display the plausibility and difference in formative curiosity."

Roser Caillois called this "destined coincidence." and regarded everything in nature to follow coincidences in a destined frame and attains its expressed shape and color. Following this basis, he presented the line and texture of fruits in nature, the orderliness and colors of flowers, and as an example of inanimate objects following the same basis, introduced a finished pot into a fiery pit to be reshaped into another object.

So, Chang Ki Young accepts that both animate and inanimate objects in nature are living beings that are trying to find order in a non-orderly world and at the same time presents this idea through various human-like expressions found in nature. For this, he sees still-life paintings as if he would another person, with eyes of a prophet and distributes his sentiment and reason evenly to objects in different worlds. (Like creatures that are created by God as one)

Today, we understand and accept that it is not easy to see the true essence and value of what is being seen. Nevertheless, people have soul, spirit as well as flesh and although we live in a 3 dimensional world, we are 4 dimensional beings who will come to understand the reality that "the different dimensions co-exist as one" through the active creative input from the artist.

Chang Ki Young tells us that we need to cease our preconception of the visual meaning of everyday subjects, to see and recognize beyond what can be seen, and invites us to the dream space that is indefinitive. Now, can we see our true dreams and fundamental hope that is hidden deep within ourselves through his work?

The arti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emotional response and the essence of the object, renders familiar objects we have long viewed through his perspective and invites us into his state of mind to find within the visual phenomenon of the infinite exchange of truth and intangible nature.

Now, looking at the work of Chang Ki Young before our eyes, we will find ourselves realizing that the important truth we came to discover is not because the object itself revealed its true form but rather because the artist intentionally drew it in such manner and we will find ourselves nodding our head in agreement.